실업급여 수령이 가능한 대상자분들은 퇴직을 하실 때 이직확인서를 근무한 기관으로부터 처리받아야 하는데요.
간혹 퇴직 하실 때 이직확인서 신고를 요청하셨어도 이직확인서 신고가 누락되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이때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조회 방법을 통해 처리 여부를 파악해보시기 바랍니다.
이직확인서란?
이직확인서는 피보험자의 퇴직 및 이직 시 기존 근무지에서 보험 상실 신고와 함께 제출하는 것으로 정확한 인적사항과 사유를 작성하지 않으면 실업급여 수령이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실업급여 수급 조건
- 이직일 전 1년 6개월 기간동안(초단시간 근로자는 2년) 통산 피보험 단위기간 180일 이상
- 근로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취업하지 못한 상태
- 재취업을 위한 노력이 적극적
- 비자발적 이직 사유
실업급여 지급 기간
□ 50세 미만의 경우
- 1년 미만: 120일
- 1년 ~ 3년: 150일
- 3년 ~ 5년: 180일
- 5년 ~ 10년: 210일
- 10년 이상: 240일
□ 50세 이상 및 장애인의 경우
- 1년 미만: 120일
- 1년 ~ 3년: 180일
- 3년 ~ 5년: 210일
- 5년 ~ 10년: 240일
- 10년 이상: 270일
실업급여 지급액
실업급여 지급액은 이직 전 평균임금의 60%를 기준으로 지급합니다.
그러나 상한액과 하한액이 정해져 있는데요, 그 금액은 최저임금의 변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2024년 기준 실업급여 상한액 하한액
상한액: 하루 66,000원
하한액: 하루 63,104원
본인의 실업급여 지급액을 확인해보시고 싶으시다면 고용보험 제도 실업급여 모의계산기를 통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조회 방법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조회는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에서 가능합니다
고용보험 홈페이지
고용보험 홈페이지 – 개인서비스 –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조회
모바일 앱
이상으로 고용보험 및 실업급여, 이직확인서 등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되는 글 올려드리며 글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