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재 뜻 의미 계산기(상차림)

고인을 추모하고 기리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고인의 영혼이 사후 세계에서 좋은 곳으로 잘 가길 염원하는 마음을 담은 49재가 대표적인데요.

칠칠일 천도의식, 칠칠재라고도 불리는 49재 뜻 의미 계산기상차림 방법과 함께 그 자세한 내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49재 뜻 의미

49재는 고인이 죽은 날로부터 7일 째마다 7번의 제사를 지내 49일의 제사를 지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49재의 ‘재'(齋)자는 가지런할 제(齊)자와 신을 모시는 일을 뜻하는 시(示)자가 합하여 만들어진 한자로

신에게 제사를 지낼 때 몸을 정하게 하는 뜻‘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49’제’ X, 49’재’ O)


불교의 종교의식인 49재의 전해지는 속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문수보살

불교에서 복덕과 반야지혜를 상징하는 보살.

문수보살을 맞이하기 위하여 정암사에 머물렀던 신라시대 불교의 대국통 자장 율사가 일시의 교만으로 거지 행색을 하고 온 문수보살을 만나주지 않았습니다.

뒤늦게 문수보살임을 깨달은 자장이 뒤를 쫓아갔으나 육신으로는 어쩔 수 없었다.

자장은 육신을 버리고 하늘로 가서 문수보살을 만났다.

그런데 하늘에서 다시 돌아와보니 육신은 이미 화장한 뒤였다.

이때부터 사십구재의 영가천도의식(靈駕薦度儀式)이 봉행되었다.



49재 상차림

제사상

1열밥, 국, 시접, 국수, 떡∘ 반서갱동 : 밥 서쪽, 국 동쪽
∘ 좌면우병 : 면 좌측, 떡 우측
2열적(소/닭/야채), 전∘ 어동육서 : 생선 동쪽, 고기 서쪽
∘ 두동미서 : 생선의 머리 동쪽, 꼬리 서쪽
3열소고기국, 닭국,
두부국, 생선국
∘ 육계소어 : 소고기국, 닭국, 두부국, 생선국
4열포, 나물,
김치, 간장, 식혜
∘ 좌포우혜 : 육포 왼쪽, 식혜 오른쪽
∘ 산야가해 : 산나물, 밭나물, 재배나물,바다나물
∘ 생동숙서 : 생채 동쪽, 숙채 서쪽
5열대추, 밤, 감, 배∘ 조율시이 : 대추, 밤, 감, 배순
∘ 홍동백서 : 붉은 과일 동쪽, 흰과일 서쪽

49재 계산기

49재 계산은 다음과 같이 간단히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예시
기준일돌아가신 날· 3월 1일
초재7일 째· 3월 7일
2재14일 째· 3월 14일
3재21일 째· 3월 21일
4재28일 째· 3월 28일
5재35일 째· 4월 4일
6재42일 째· 4월 11일
49재49일 째· 4월 18일

고인의 사망일을 제1일로 삼아 계산합니다.

즉, 고인이 사망한 날이 토요일이라면 사십구재를 지내는 날짜는 토요일이 아닌 금요일입니다.

따라서 3월 1일(토) 사망한 고인의 초재는 3월 7일(금)이며, 그 이후의 49재까지(4월 18일)는 금요일입니다.

’49재 지내는 날 = 돌아가신 날 + 7주 – 1일


계산이 복잡하다면 아래 자동 계산이 사이트를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자주묻는 질문

49재를 간소화하게 지내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초재와 마지막 49재에서의 제사만을 지내며, 상차림을 간소화하여 49재를 지낼 수 있습니다.

49재 기간 금기사항이 있나요?

고인의 사망을 추모하는 의미의 기간동안은 지나치게 즐겁고 기쁜일은 삼가야합니다.
(음주가무, 여행, 경거망동)


같이보면 좋은 글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5 / 5. 투표 수: 1237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해보세요.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